유익한 정보/알아두면 좋은것들

호칭에 대해서

이미피더 2011. 2. 25. 14:47

 

  문화가 발달하고 새로운 제품이 생산되면 그에 합당한 명칭의 신조어가 만들어

  지듯,  사람 사이의 호칭도 접촉 빈도에 따라 바뀌고, 새로이 만들어지는가 봅니다.
  올린 자료를 잘 활용하시되, 현장의 상황, 항렬, 연령 등을 고려하고,  먼저 상대  

  를  배려하려는 마음 가짐을 앞세워 상대를 낮추어 하대 하려 들지 말고,  상대방

  을  인격적으로 존중하려고 노력하면 정확한 호칭어나 지칭어를 몰라도   한결

  수월하게 대화나 상황전개가 잘 진행되리라 봅니다.

※ 호칭과 지칭에 대한 참고사항

1. 항렬이 낮은 사람은 엄밀히 따지면 장손 집안에서 나타납니다. 전통옛법에서도 장손, 장조카에게는 하대 하지 않았습니다. 조카가 다섯살이상 차이가 나면 서로가 평대 하도록 하였습니다. 2. 대상자를 직접 부를 때 삼촌,사촌,오촌,외삼촌 등 숫자의 호칭은 사용하지 않았으나 요즘은 그냥 사용하더군요. 삼촌은 '숙부', 사촌은 '종형','종제', 오촌은 '당숙부', 외삼촌은 '외숙부', 육촌은 '재종형.제' 이지요. 3. 여자들만이 부르는 호칭 : 언니의 남편은 '형부', 여동생의 남편은 '○○서방(님)' '올케', '언니', 시누이', '시숙', '시아주버님', '시아버님', '시어머님', '시이모님', '시고모님'. 남편 누님의 남편 즉 '남편의 매형'에 대한 호칭은 원래는 없었는데 '아주버님'으로 하였고, 제 3자에게는 아이들 이름을 붙여 '○○고모부'라 해도 됩니다. '아주버니'나 일부 지방에서 사용하는 '아재'는 낮춤말이랍니다. 4. 부를 대상자가 많거나, 혼돈이 생길 경우 지역 이름을 적절히 사용하여 구분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가령, 인천당숙, 부산형님, 대전서방님, 대구매형, 신림동작은아버지 등등

직계 존.비속 및 형제.자매 관계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조부(祖父)

할아버지

저, 제가, 불효손

할아버지, 조부님

왕대인, 조부장, 왕부장

아버지의 아버지를 말하며, 같은 할아버지의 손자들끼리는 '종형제' 즉 4촌간이 됨.

조모(祖母)

할머니

저, 제가

할머니, 조모님

왕대부인

부(父)

아버지, 父主

저, 제가, 불효자, 소자

아버지, 가친,엄친

춘부장, 춘장, 춘당

친 부모님께는 '아버지'와 같이 '님'자를 붙이지 않으며, 돌아가시면 '선친', '선고'로 지칭,

모(母)

어머니, 慈主

저, 제가

어머니, 자친

자당, 훤당

부모(父母)

부모님, 양위분

고애자(돌아가신 뒤)

부모님, 양친

양위, 양당

남편(男便)

여보, 영감, ○○아빠

나, 처

남편, 그이, 바깥양반

부군, 현군, 주인어른

남편을 시부모께 지칭 : 아비, 아범, 저이, 이이

친정부모께 지칭 : ○○서방, 그사람

아내(妻)

여보, 마누라, ○○엄마

나, 부

안사람, 아내, 집사람

부인, 영부인, 합부인

아내를 친부모께 지칭 : ○○어미(어멈), 그사람

장인께 지칭 : ○○어미(엄마), 그사람, 안사람

아들(子)

얘(큰애.작은애), 이름

애비, 에미, 나, 부, 모

자식, 큰애, 작은애

자제, 영식, 영윤

딸(女)

얘(큰애.작은애), 이름

애비, 에미, 나, 부, 모

딸, 큰애, 작은애

따님, 영애, 영교

사위(壻)

○○서방

장인, 장모

사위, ○○서방

서랑

손자, 손녀

이름, 얘

나, 할아버지, 할머니

손자, 손녀

영손

형(兄)

형, 형님

저, 동생, 아우

큰형(님), 작은형

백씨(장), 중씨(장)

형수(兄嫂)

형수님, 아주머님

저, 시동생

큰.작은형수(님)

큰.작은형수씨

제(弟)

동생, 아우, 이름

나, 형

아우, 동생

제씨, 영제씨

제수(弟嫂)

제수씨, 계수씨(막내)

나, 시아주버니

제수(씨), 계수(막내)

영제수씨, 영계수씨

누나(姉)

누나, 누님

저, 나, 동생

누나, 누님

영자씨

" 남편

매형, 매부

저, 나, 처남

매형, 매부

'자형'은 제외 되었음

여동생(妹)

동생, 이름

나, 오빠, 언니

누이동생

영매씨

" 남편

매부, ○○서방

나, 처남, 처형

매부, 동생의 남편

매부(연장자)

생질(甥姪)

이름, 얘, 생질, 생질녀

외숙부, 외삼촌

생질, 생질녀

생질, 생질녀

오빠

오빠, 오라버니(님)

자녀에게는 외삼촌, 언니의 남편은 '형부'

" 아내

(새)언니

자녀에게는 외숙모, 여자인 경우 남동생의 아내는 '올케'

고조부
(高祖父)

'조부의 조부'이시고, '아버지의 증조부',
고조부가 같은 방계의 형제들은 8촌간으로 '삼종형제'라 함.

증조부

'아버지의 할아버지'이시며, 증조부가 같은 형제들끼리는 6촌간으로 '재종형제'라 함.

※ 누나의 남편을 자형과 매형의 논란 과정에서 '매형'의 매(妹)란 글자는 누이동생에게 쓰는 글자이므로 거기에 '형'을 붙이는 것은 모순이란 말도 있었으나, 국어사전에도 올라있고 통상적으로 많이 쓰는 것이 '매형'으로 통일 하였답니다. 누나의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적으면 '매부'라 하고, 또한 누이동생의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많으면 '매부', 나이가 적으면 '○○서방'으로 호칭.

 

백.숙부 및 종형제와 조카 관계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백부, 숙부
(伯父,叔父)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저, 조카

백부, 중부, 계부(막내)

백완장, 완장, 계부장

아버지의 형제이므로 나와는 3촌간이며, 백.숙부의 자녀는 나와 '종형제'로 4촌간이 됨.

백모, 숙모
(伯母,叔母)

큰어머니, 작은어머니

저, 조카

백모, 숙모

백.중.숙모부인

종형(從兄)

형님, 종형님

아우, 종제

사촌형, 종형

영종형씨, 영종백씨

나와 4촌간으로, 할아버지 부터는 조상이 같은 자손들임.

종제(從弟)

아우, 종제

형님, 종형님

사촌아우, 종제

영종씨, 현종씨

당숙(堂叔)

당숙, 종숙, 아저씨

종질, 당질

당숙, 종숙

종숙장, 당숙장

아버지의 4촌형제로, 당숙은 5촌이고 당숙의 자녀는 '재종형제'라하며 6촌간이 됨.

종조부
(從祖父)

종조할아버지, 종조부

종손

종조부, 종조할아버지

귀종조부님

조부님의 형제, 아버지의 백,숙부를 말함. 종조부의 손자는 나와 6촌형제가 됨.

종조모

종조할머니, 종조모

종손

종조모, 종조할머니

귀종조모님

재종형
(再從兄)

형, 재종형

재종제

재종형, 육촌형

영재종씨

당숙의 자녀로 6촌간이며, 증조부 부터는 같은 조상의 후손들임,

재종제

아우, 이름, 재종제

재종형

재종제, 육촌동생

영재종제씨

조카(姪)

이름, 조카, ○○아범

숙부, 숙모

조카

장조카는 예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조카가 아저씨보다 5살이상 위이면 서로 예우함.

조카의 아내

아가, ○○어멈

숙부, 숙모

조카며느리, 질부

여자 조카

이름, ○○어미, ○○어멈

숙부, 숙모

조카딸, 질녀

조카 사위

○○서방, ○○아범

처숙부, 처숙모

조카사위, 질서

조카 들

나의 형제의 자녀는 3촌간으로 '조카'(질)인데,
같은 남자형제의 자녀는 '조카'
누나, 여동생의 자녀는 '생질' (즉, 나를 외숙부라 부르는 사람)
나를 고모라 부르는 친정조카는 '가질'이라 하는데 '조카' 또는 '친정조카'라 하고,
나를 고모부라 부르면 '처조카'
나를 이모, 이모부로 부르는 조카는 '이질' (같은 여자 형제의 자녀, 아내의 언니나 여동생의 자녀들)
나를 당숙으로 부르는 조카는 당질(사촌형제 즉 종형제의 자녀)

 

고모와 내종형제 관계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고모(姑母)

고모

저, 가질

고모

존고모부인

아버지의 여자형제로, 고모의 자녀는 '내종형제' 또는 '내사촌'이라 함.

고모부

고모부

고모부

존고숙장

내종형
(內從兄)

내종형

외종제

내종형

귀내종형

고모의 자녀, '고종형제', '내사촌' 또는 '고종사촌'으로 부름. 여자끼리는 '내종언니'

내종제

내종제

외종형

내종제

귀내종제

대고모

'할아버지의 누이', '아버지의 고모'이며, '왕고모'라고도 함.

내종질

'고모'의 손자, '고종형제'(내사촌)의 자녀들을 말함.

아버지의
고모, 이모,
외삼촌

아버지의 고모

대고모, 왕고모, 고모할머니, ○○할머니. (○○는 사시는 지역이름)

아버지의 이모

이모할머니, ○○할머니. (○○는 사시는 지역이름)

아버지의 외삼촌

진외할아버지. ○○할아버지. (○○는 사시는 지역이름)

 

외가 관계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외조부
(外祖父)

외할아버님

저, 외손

외조부,외왕부

외왕존장, 외왕대장

어머니의 아버지, 아버지의 장인이며, 아들은 '외숙부', 딸은 '이모'가 됨.

외조모

외할머님

저, 외손

외조모

외왕대부인

외숙(外叔)

외삼촌, 외숙부

저, 생질

외숙, 외삼촌

귀외숙, 귀표숙

어머니의 오빠나 남동생이며, '외숙부'라 함.

외숙모

외숙모

저, 생질

외숙모

귀외숙모

이숙(姨叔)

이모부, 이숙

저, 이질

이모부, 이숙

귀이숙장

이모(姨母)

이모

저, 이질

이모

귀이모

어머니의 여형제로, 이모의 자녀는 '이종형제' 또는 '이종사촌'이라 함.

외종형
(外從兄)

외종형

내종제

외종형

귀외종형

외삼촌의 자녀, '외사촌'이라고도 하며, '외사촌'은 나를 '고종사촌'이라 부름.

외종제

외종동생, 표종제

내종형

외종제

귀외종제

이종형.제

이종형, 이종동생

이종동생, 이종형

이종사촌형.제

진외가

陳外家, 아버지의 외가, 즉 할아버지의 처가

외외가

外外家, 어머니의 외가

※ 참고 : 많이 사용하는 것중 고쳐야 할 몇 가지를 소개하면 1. 성인이 되어서도 아버지, 어머니를 '아빠', '엄마'로 부르는 것. 또 '님'자를 붙이는 것. 특히, 시부모 앞에서 '친정아빠', '친정엄마'라 하는 것 단, 편지를 쓸 때는 '아버님', '엄마' 등으로 예외로 사용할 수 있다고 봄. 2. 살아계신 아버지를 '선친', '선고'라고 하는 것(돌아가신 뒤에만 사용) 3. 남편을 '아빠', '오빠', '형' 등으로 부르고, 아내를 '와이프'라고 부르는 것 4. 남편의 남동생, 여동생을 각각 '삼촌', '고모'라고 부르는 것.

 

※ 다음은 처족과 관련하여 알아 봅니다.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장인(丈人)

장인어른

저, 사위

장인, 빙장(어른)

귀악장

장모(丈母)

장모님

저, 사위

장모, 빙모(님)

귀빙모부인

여자가 시집을 가면 나이에 관계없이 남편 쪽의 서열에 따라 남편 동기의 배우자 등에 대한 호칭과 경어 사용이 정해지는데, 아내의 동기들에게는 여자의 서열에 관계없이 '사회의 사귐 관계'라 하여 남자들의 나이에 따른다는 것은 지나친 남성 위주의 사고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또 핵가족화의 영향등으로 본가와는 분가하여 살다보니 자연스레 처가와 왕래가 많아져 처남과 매부가 친형제 이상으로 가깝게 지내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심지어 남에게는 '형님'이라고 하면서 손위 처남을 '형님'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답니다. 1. 요즘은 처의 부모님을 장인, 장모님 보다 아버님, 어머님으로의 호칭을 더 많이 쓰더군요. 전례에는 장인어른을 '아버님'이라 할 수 없고, 또 손위 처남한테도 '형님'이라고 부를 수가 없었지요. 하지만 아내는 나의 부모님께 아버님, 어머님 하는데, 처의 부모님께도 그에 합당한 칭호를 붙여 드려야 한다는 것이지요. 또 당사자들도 장모 보다는 어머님으로의 호칭을 더 좋아하고 원한답니다. 2. 처남과 동서간에 있어, 처의 오빠와 처형의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연장자인 경우는 '형님'으로, 자신보다 연하인 경우에는 '처남', '동서'라 부르도록 하였답니다. 여기서 처의 오빠를 형님으로 했다하여 '처남의 댁'을 형수님이라 해서는 않되겠지요. 그렇다고 나이 차이 많은 처남댁을 직접 부를 때 '처남의 댁'이라 하지 않고 '아주머님'이라 한답니다.

※ 위의 내용 등을 도표로 표시하면

대 상 자

호칭, 지칭

제 3자에게 지칭할 때

자녀에게 지칭할 때

장 인

장인어른, 아버님

장인(어른), ○○외할아버지

외할아버지

장 모

장모님, 어머님

장모님, ㅇ외할머니

외할머니

아 내

여보, ○○엄마, 임자, 당신

집사람, 처, 아내, 안사람

어머니

아내의 오빠

형님, 처남(연하)

처남, ○○외삼촌

외숙부, 외삼촌

아내 오빠의 아내

아주머니, 지칭:처남의 댁

처남의 댁, ○○외숙모

외숙모

아내의 남동생

처남, 이름, 자네

처남, ○○외삼촌

외숙부, 외삼촌

아내 남동생의 아내

처남의 댁

처남의 댁, ○○외숙모

외숙모

아내의 언니

처형

처형, ○○이모

이모

아내 언니의 남편

형님, 동서(연하)

동서, ○○이모부

이모부

아내의 언니/여동생

처제

처제, ○○이모

이모

아내 여동생의 남편

동서, ○○서방

동서, ○○이모부

이모부

사 위

○○서방, 여보게, 사위

○○서방, 우리사위

아빠, 아버지

아내의 조카

이름, 얘

처조카, 처조카딸

외사촌형, 제/언니, 동생

대 상 자

호칭, 지칭

제 3자에게 지칭할 때

자녀에게 지칭할 때

시아버지

아버님, 아버지

시아버님, 아버님

할아버지

시어머니

어머님, 어머니

시어머님, 어머님

할머니

남 편

여보, ○○아빠, 당신, 영감

우리남편, 그이, 바깥주인

아버지

남편의 형

아주버님

아주버님, 시숙

큰아버지, 백부님

남편의 남동생

도련님(미혼), 서방님

도련님, 시동생

숙부님, 작은아버지

남편의 누나

형님

시누이

고모

남편의 여동생

아가씨, 아기씨

시누이

고모

남편 형의 아내

형님

형님, 큰동서

큰어머님, 백모님

남편 동생의 아내

동서

동서

작은어머님, 백모님

남편 누나의 남편

아주버님

자녀이름 '○○'고모부

고모부

남편 여동생의 남편

서방님

자녀이름 '○○'고모부

고모부

며느리

아가, 새아가, 며늘아

우리며느리, 며늘애, ○○댁

엄마, 어머니

※ 아저씨, 아주머니 등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국어사전의 어원으로 볼 때 1. 아 저 씨 : ①'부모와 같은 항렬의 남자', 그러므로 '당숙', '재당숙', '삼종숙' 등에 사용. ②'또는 그와 같은 또래의 남자를 정답게 부르는 말' 2. 아주머니 : ①어버이와 같은 항렬의 여자. 아저씨의 아내. ②자기와 같은 항렬되는 사람의 아내. ③부녀자에 대한 통칭. 경칭어는 '아주머님' 3. 아주버니 : 남편과 같은 항렬되는 남자. 높임말은 '아주버님' 4. 아 재 : 아저씨, 아주버니의 낮춤말. '아재비' 도 아저씨의 낮춤말임. 5. 아 제 : ①아저씨의 낮춤말. ②여자가 자기 여동생의 남편을 부르는 말. 6. 아 주 미 : '아줌마', '아줌니' 등 아주머니의 낮춤말.


사돈 관계의 호칭과 지칭어

대 상 자

관계

호칭어 및 당사자에게

자녀 배우자의 부모 및 삼촌 항렬

(자녀 배우자 : 사위, 며느리)

남 : 남

사돈어른, 사돈, ○○(외)할아버지

남 : 여

사부인, ○○(외)할머니

여 : 여

사부인, 사돈, ○○(외)할머니

여 : 남

사돈어른(밭사돈), ○○(외)할아버지

동기 배우자의 형제자매 및 배우자
(동기 배우자 : 형수,제수,올케,매부)

남자에게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여자에게

사돈, 사돈처녀, 사돈아가씨

며느리, 사위의 조부모

사장어른

동기 배우자의 부모

사장어른

자녀 배우자의 형제자매 및 조카
동기 배우자의 조카

남자에게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여자에게

사돈, 사돈처녀, 사돈아가씨

 

[출처 - 가정의례정보]